제주 4·3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시작으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의 무장봉기까지 이어지는 격동의 시기를 거치며 발생했다. 1948년 4월 3일, 무장대는 경찰과 우익단체에 대한 저항, 남한 단독선거 반대, 조국 통일 독립을 목표로 봉기를 일으켰다. 미군정은 이를 진압하기 위해 경찰과 경비대를 투입했지만, 오히려 주민들의 반발을 야기하며 사태를 악화시켰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제주 4·3사건은 정권의 정통성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되었고, 이승만 정부는 강경 진압을 통해 사건을 종식시키려 했다.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 지역이 전면 개방되면서 7년 7개월 만에 사건은 사실상 종결되었지만,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되었고, 그들의 고통은 오랫동안 이어졌다. 2000년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가 발족하여 진상 조사를 실시했고,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은 국가의 책임을 인정하고 유족들에게 공식 사과했다. 2014년 4·3희생자추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면서 제주 4·3사건은 역사적 진실을 밝히고 희생자들을 기리는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Related Posts
[ 정치 ] “한동훈 vs. 친윤, ‘김건희 특별감찰관’ 놓고 공개 의총 격돌… ‘표결’ 땐 공멸 우려
- staff_1 jeong
- 2024-10-29
- 0
“ 국민의힘은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을 둘러싸고 친한(친한동훈)계와 친윤(친윤석열)계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친한계는 공개 의원총회를 통해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을 논의하자고 주장하며 친윤계를 압박하고 있다. 반면, 친윤계는 공개 의총에 불쾌감을 표하며 의총에서 일방적인 추인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인다. 친한계는 특별감찰관 추천에 대한 찬성 여론이 높다고 판단하여 공개 의총을 통해 친윤계를 압박하고, 표결 절차를 생략하여 통상적인 합의 추인 방식으로 후보 추천을 관철시키려 한다. 반대로 친윤계는 공개 의총이 ‘용산이 마음에 안 든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꼼수라고 비판하며 의총을 통한 일방적인 추인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당내에서는 계파 갈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윤상현 의원은 표결은 분열의 시초가 될 수 있으며, 결국 공멸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원내 지도부 역시 표결은 계파 갈등을 당내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대외적으로 공표하는 절차가 될 수 있다며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동훈 대표와 추경호 원내대표가 내홍 확전을 막기 위한 물밑 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건희 여사 문제 해법을 둘러싸고 두 사람이 다음 주 의총 전 접점을 찾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이날 최고위에서는 친한계로 분류되는 유의동 여의도연구원장이 추천한 여연 이사 후보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해당 후보에 대한 언행 검증 등 이력 조회가 필요하다는 우려를 제기했고, 추후 다시 논의하기로 결정되었다. 해당 후보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비판성 칼럼을 작성한 이력이 있다. 국민의힘은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 문제를 둘러싼 친한계와 친윤계 […]
[ 정치 ] “이재명 대표 위증교사 사건 선고, 생중계는 없다… 법원의 뜻밖의 결정
- staff_1 jeong
- 2024-11-21
- 0
“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3부는 이재명 대표의 위증교사 사건 1심 선고를 생중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법원은 관련 법익과 사건 진행 경과 등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이 대표 선고 공판 생중계를 지속적으로 요구했고, 법률자문위원회는 탄원서까지 제출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생중계를 반대하며 ‘망신주기’ 및 인권침해라고 주장했다. 법원은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1심 선고 생중계 역시 거부한 바 있다. 이번 결정은 이 대표 측의 반대와 법원의 판단이 결합된 결과이다. 법원은 사건의 특수성과 관련 법익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생중계 여부를 판단했다. 결국 이재명 대표의 위증교사 사건 1심 선고는 생중계 없이 진행될 예정이다.
[ 주식 ] “테슬라 로보택시 실망감에 2차전지주 ‘파란불’… 10월까지는 보수적 접근 유효
- staff_1 jeong
- 2024-10-15
- 0
“ 테슬라의 로보택시 실망감으로 인해 2차전지주가 일제히 하락했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퓨처엠, 엘앤에프,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금양 등 주요 2차전지 기업들의 주가가 1~3%대 하락했다. 테슬라의 로보택시가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셀온 매물이 출회된 것이다. 일론 머스크 CEO는 로보택시 시제품을 공개했지만, 자율주행 기술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규제 해결 방안, 수익 창출 방안 등을 언급하지 않아 실망스러운 평가를 받았다. 이로 인해 테슬라 주가는 8.78% 급락했고 시가총액 순위도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증권가에서는 2차전지주가 10월까지는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조언한다. 테슬라 로보택시 외에도 저조한 3·4분기 실적이 주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I,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의 3·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차전지주의 주가 향방은 11월 미국 대선 결과에 달릴 전망이다. 민주당 대통령 후보 카멀라 해리스가 당선된다면 2차전지가 주도 섹터가 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