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준표 대구시장은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의 헌법재판관 임명을 강하게 비판했다. 최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헌법재판관을 임명한 것은 헌법상 대통령의 고유 권한을 침범하는 행위이며, “대통령 놀이”라며 비꼬았다. 홍 시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와 비교하며 최 장관의 행위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재명 의원의 행태와 최 장관의 행위를 똑같이 비판하며, 국정 혼란을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최 장관은 경제 위기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헌법재판관을 임명했다고 밝혔지만, 여당 내부의 반발이 거셌다.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전원이 집단 사의를 표명했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최 장관에게 고성으로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장관은 국회 몫 헌법재판관 후보자 3명 중 2명을 임명했으며, 민주당 추천 후보자 임명은 여야 합의 부족으로 보류했다. 결국, 최 장관의 결정은 정치적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민불료생’이라는 성어를 인용하며 현재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 정치 ] “이재명 대표 2심 재판, 2월 15일 전 선고될까? 대통령 영장과의 속도 차이, 공정성 논란 확산
“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1심 재판이 2년 2개월이나 걸린 점을 지적하며, 2심 선고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2월 15일 이전에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1심 선고 후 3개월 이내에 2심 선고가 나와야 한다는 법률 규정을 근거로 한다. 이 대표 측이 재판 지연을 의도적으로 시도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신속하고 엄정한 재판 진행을 촉구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 대표의 백현동 사건과 대북 송금 사건 관련자들의 중형 확정을 언급하며, 사실관계가 명확해진 만큼 이 대표에 대한 판결도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영장 발부가 하루 만에 이뤄진 점과 대조적으로 이 대표 재판의 지연은 사법부의 공정성에 대한 신뢰를 흔들 수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조기 대선 가능성을 언급하며, 대선 전에 이 대표에 대한 최종심 판결이 나와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여야 간 탄핵 심판 및 이 대표 재판을 둘러싼 ‘앞당기기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4월 중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최종 결론이 나올 가능성이 높으며, 헌법재판관 충원으로 심리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표의 재판 지연이 대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 정치 ] “민주당, 권성동·윤상현 등 與 의원 12명 내란 선동 혐의로 고발
“ 더불어민주당이 권성동 등 국민의힘 의원 8명과 유튜버 4명 등 총 12명을 내란 선전·선동 혐의로 고발했다. 민주당은 이들이 ‘비상계엄 정당성’ 주장을 펼치고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를 주장하며 헌법 질서를 위협했다고 주장한다. 고발 대상에는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윤상현·나경원·박상웅 의원 등이 포함된다. 민주당은 이들의 발언이 사회 혼란을 야기했다고 지적했다. 이용우 민주당 법률위원장은 권성동 원내대표의 경우 대통령의 비상계엄 관련 발언에 동조한 점을 문제 삼았다. 윤상현 의원의 경우 페이스북 발언과 탄핵 반대 집회 참여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 민주당은 내란 선전·선동죄에 공소시효가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전광훈 목사에 대한 고발에 이은 조치이며, 추가적인 내란 선동 행위가 확인될 경우 추가 고발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고발 대상 검토 대상에 없었다고 밝혔다.
[ 연예 ] “6년 만에 공개된 김정현의 눈물의 사과…’시간’ 논란, 진심은 전해질까
“ 배우 김정현이 2018년 드라마 ‘시간’ 제작발표회에서 보인 무례한 태도와 중도하차에 대해 6년 만에 공식 사과했다. 당시 그는 상대 배우 서현에게 무안을 주는 행동을 했고, 무표정한 태도로 일관했다. 이후 건강 문제를 이유로 드라마를 하차했으나, 이는 당시 여자친구였던 서예지의 가스라이팅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김정현은 2021년 자필 사과문을 통해 잘못을 인정했지만, 공식 석상에서 직접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2024 KBS 연기대상 녹화 현장에서 과거 행동에 대한 반성과 사과를 전했다. 하지만 녹화 방송이기에 그의 사과 장면이 편집될 가능성도 있다. 김정현은 상대 배우 서현 등 구체적인 인물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반성과 사과의 뜻을 밝혔다. 이번 사과가 방송을 통해 공개될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시간’ 드라마는 서현이 주연으로 책임감 있게 마무리했다.
[ 이더리움 ] “SBI 투자 확대에 리플 가격 급등… 암호화폐 시장, 새로운 국면 열리나
“ 일본 SBI 그룹의 리플 투자 확대 소식으로 리플 가격이 급등했다. 2일 업비트 기준 리플은 전 거래일 대비 12.05% 상승한 3479원에 거래됐다. 해외 거래소에서는 11.62% 상승한 2.34달러를 기록했다. SBI는 리플 발행사 리플 랩스의 지분 8%를 보유한 일본 최대 금융 그룹 중 하나다. 이러한 투자 확대 소식이 리플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같은 시각 비트코인은 국내에서 1.48% 상승한 1억4132만원을 기록했다. 해외에서는 9만5659.23달러에 거래되었다. 국내와 해외 거래소 간 가격 차이는 1.22%의 김치 프리미엄으로 나타났다. 리플은 이더리움에 이어 시가총액 2위의 알트코인이다. 이번 가격 상승은 일본 금융권의 암호화폐 시장 진출 확대를 시사한다는 평가다. 암호화폐 시장의 향후 움직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비트코인 ] “일본 SBI그룹, 리플 투자 확대…리플 가격 12% 폭등
“ 일본 SBI그룹의 리플 투자 확대 소식으로 리플 가격이 급등했다. 1월 2일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기준 리플은 전 거래일 대비 12.05% 상승한 3479원에 거래됐다. 해외에서는 11.62% 급등한 2.34달러를 기록했다. SBI는 리플 발행사인 리플 랩스의 지분 8%를 보유한 일본 최대 금융 그룹 중 하나다. 이번 급등은 SBI의 투자 확대 소식이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결과로 분석된다. 같은 날 비트코인은 국내에서 1.48% 상승한 1억4132만원에 거래됐다. 해외 거래가격은 9만5659.23달러였다. 국내와 해외 비트코인 가격 차이인 김치 프리미엄은 1.22%였다. 리플은 이더리움에 이어 시가총액 2위 알트코인이다. 리플 가격 상승은 SBI의 투자 확대 외에도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긍정적 분위기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소식은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부동산 ] “9개월 만에 멈춘 서울 집값 상승, 경기침체에 수요 위축
“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9개월 만에 멈추고 보합세를 기록했다. 인천과 경기 지역은 하락세를 이어갔다. 대출 규제 강화, 정국 혼란, 경기 침체 우려 등이 매수 심리 위축을 불러왔다. 특히 서울 외곽 지역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금천구, 구로구, 노원구 등 집값 하락폭이 컸다. 반면 송파, 서초, 강남 등 강남권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전국 아파트값은 0.03% 하락했고, 전셋값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11월 대비 아파트 거래량은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상반기 주택시장 혼조세 지속을 전망했다. 강화되는 대출 규제와 경제 불확실성이 시장 관망세를 심화시키고 있다. 실제 일부 지역에서는 집값이 1억원 가까이 하락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 주식 ] “AI 소프트웨어 기업, 3개월 만에 주가 최대 326% 폭등! 트럼프 효과까지 더해져 향후 성장 기대
“ 미국 AI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사운드하운드 AI는 3개월 만에 325% 이상 급등했고, 지난해에는 835% 상승했다. AI 음성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 서비스 개선 등에 활용되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투자은행들은 목표 주가를 3배 이상 상향 조정했다. C3ai는 3개월간 42% 상승했고, 기업 생산성 향상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며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협력하고 있다. 빅베어 에이아이 홀딩스도 204% 이상 급등하며 주목받고 있으며, 정부 및 건설 기업에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들 기업은 AI 사업 모델 구현에 성공하며 실적 호조를 보였다. 사운드하운드 AI는 엔비디아 투자 유치와 높은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팔란티어, 빅베어 에이아이 홀딩스와 함께 AI 소프트웨어 3대장으로 꼽힌다. 웨드부시와 HC 웨인라이트 등 투자은행들은 이들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며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향후 3년간 2조 달러 이상의 설비 투자와 트럼프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세일즈포스닷컴, 업스타트 홀딩스 등 다른 중소형 AI 기업들도 주목받고 있다. AI 기술의 수익화 성공으로 새로운 주도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정지웅 앵커의 [ 하루 상식 ] “2025년 달라지는 정책·제도들 “
2025년은 을사년, 푸른 뱀의 해로, 역사적으로는 을사사화와 을사늑약이 발생했던 해이기도 하다. 뱀은 전통적으로 지혜와 재생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동시에 두려움의 대상이기도 하다. 2025년에는 결혼세액공제 신설, 근로장려금 소득상한 인상, 인구감소지역 주택 구입 시 세제 혜택 등 다양한 경제·사회 정책 변화가 예정되어 있다. 여기에는 세제 개편, 부동산 정책 변화, 행정·법률 개정, 고용·노동 환경 변화, 보건·복지 제도 개선, 교육·보육 정책 변화, 교통 정책 변화, 국방·병무 정책 변화, 환경·기상 관련 정책, 그리고 농축산·수산 정책 개선 등이 포함된다. 특히, 6가 혼합백신 무료 접종 시행 및 9급 공무원 시험 출제 기조 개편 등이 주요 변화로 꼽힌다.
정지웅 앵커의 [ “실시간 순위” ]
1위: 월 900만원 벌어도 “퇴직 후엔 어쩌지”…노후준비 못 하는 이유 http://news.mt.co.kr/mtview.php?no=2024122122484584052 2위: [속보] 경찰 관저앞 윤 대통령 지지 집회 강제해산 돌입 http://news.mt.co.kr/mtview.php?no=2025010216500828163 3위: 김흥국 尹 체포 저지 집회서 “대통령 지켜야 대한민국 살아” https://www.mk.co.kr/article/11208372 4위: [속보] “이재명 살해하겠다” 살인 예고 전화 신고 접수…경찰 수사 나서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102580224 5위: “당신은 최선을 다하셨다” 마지막까지 분투하던 제주항공 기장에 울컥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933507&plink=ORI&cooper=NAVER 6위: “나라 망하지 않는 한 안 무너져”…미워도 다시 한번 삼전 택한 개미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JCDWZ2Y 7위: 400만원 선결제 무안공항 카페 100만원 팔고 끝?…해명 들어보니 http://news.mt.co.kr/mtview.php?no=2025010214151365631 8위: 끝까지 싸운다는 尹에…친윤·친한 모두 “난색” [______ 내용이 없거나 게시물이 삭제된 기사입니다. ______] 9위: 나경원 “尹 체포영장은 공명정대하지 못하고 정직하지 못해..한마디로 꼼수” https://www.kwnews.co.kr/page/view/2025010211525994433 10위: 尹측 “시민도 경찰 체포 가능”…대통령 관저 앞 긴장 고조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24765842&code=61121111&cp=nv 11위: 제주항공 참사 여파?…애경家 3세 채문선 유튜브채널 닫았다 12위: Global artists set to shine on Korean stages in early 2025 13위: [속보] 경찰 제주항공 김이배 대표 출국금지 14위: [속보] 홍준표 “일개 장관의 대통령 놀이 한심해…쪽 팔릴 헌법재판관” 15위: [속보]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23일 시작…1심 선고 두달여만 16위: [속보]민주당 권성동·윤상현·나경원 내란 선전죄 고발 17위: [속보] 경찰 尹 관저 앞 지지자들 강제해산…통로 확보 18위: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임박…커지는 충돌 우려 19위: [속보] 경찰 尹체포 저지농성 지지자들 강제해산 시작 20위: 차기 대선주자 여론조사서 이재명 독주…여권 후보들은? 21위: 경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