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리움 ] “암호화폐 시장, 소폭 상승 속 CPI 발표 앞두고 긴장감 고조

“ 1월 13일 암호화폐 시장은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시가총액은 전일 대비 0.61% 증가한 3조 3200억 달러를 기록했으나, 거래량은 5.51% 감소한 712억 달러였다. 비트코인은 0.56% 상승한 9만 4708.21달러를 기록하며, 시장점유율(도미넌스) 또한 0.06%p 상승한 56.64%를 나타냈다. 이더리움 역시 0.21% 상승한 3283.17달러였다. 상위 10개 알트코인 중 트론을 제외한 대부분이 소폭 상승했다. 시장의 주된 관심은 연준의 금리정책과 15일에 발표될 미국의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집중되어 있다. 양호한 고용지표에도 불구하고 C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온다면,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는 사라지고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미국의 시장 분석 업체 코베이시 레터는 연준의 금리 인하 종료를 선언하며, 시장의 극심한 변동성을 경고했다. 현재 시장은 연준의 금리정책과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하며 관망하는 분위기이다.

[ 비트코인 ] “암호화폐 시장, 소폭 반등…’볼마겟돈’ 경고 속 CPI 발표 앞두고 긴장감 고조

“ 암호화폐 시장이 소폭 반등하며 시가총액이 0.61% 증가한 5조 3,200억 달러를 기록했다. 비트코인은 0.56% 상승한 9만 4,708.21 달러를 기록했고, 이더리움 역시 0.21% 상승했다. 상위 10위 알트코인 중 트론을 제외하고 모두 상승세를 보였지만, 상승폭은 크지 않았다. 시장은 연준의 금리정책과 15일에 발표될 미국의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주목하고 있다. 물가 상승이 예상보다 높을 경우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져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의 시장 분석 업체 코베이시 레터는 연준의 금리 인하가 종료되었으며, 극심한 변동성의 ‘볼마겟돈’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시장은 연준의 정책과 CPI 발표 결과를 예의주시하며 관망하는 분위기다. 비트코인의 시장 지배력(도미넌스)은 0.06%p 상승한 56.64%를 기록했다. 거래량은 5.51% 감소한 712억 달러였다.

[ 부동산 ] “강남 빌딩주, 그들의 놀라운 실체: 200억 이상 자산가들의 숨겨진 지도

“ 매일경제와 빌사남의 공동 조사 결과, 지난해 강남구에서 거래된 상업용 건물 228개의 소유주 절반 이상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 거주자가 81명으로 가장 많았다. 소유주 연령대는 1970~80년대생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1990년대생과 2000년대생도 일부 포함되어 ‘빌딩 금수저’ 현상을 보였다. 강남 건물의 평균 거래가는 235억원에 달했고, 역삼동이 342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논현동, 역삼동, 신사동이 거래 건수가 많았다. 동별 평균 거래가격은 역삼동이 가장 높았고, 청담동, 신사동, 논현동이 그 뒤를 이었다. 최소 200억원 이상의 자금이 있어야 건물 매입이 가능한 실정이다. 강남 건물은 달러자산, 비트코인과 함께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며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선호도가 높다. 이번 조사는 강남 건물 소유의 현황과 고액 자산가들의 투자 현황을 보여준다. ‘조물주 위에 건물주’라는 말처럼 강남 건물 소유는 부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주식 ] “한은 금리, 1월 인하 vs 동결…팽팽한 전망 대립

“ 한국은행의 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하 여부를 두고 금융투자업계의 의견이 분분하다. 삼성증권과 대신증권 등은 1월 기준금리 25bp 인하를 전망하며, 낮은 경제성장률과 위축된 소비심리를 근거로 연내 3차례 인하 가능성을 제시했다. 소비자심리지수의 급격한 하락과 빠른 경기 대응 필요성이 인하 전망의 배경이다. 반면, 원화 약세 심화, 미국의 경제 상황, 트럼프 행정부 출범 등은 금리 동결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KB증권은 1월 금리 동결 가능성에 무게를 두며, 원화 변동성 심화와 물가 및 금융 안정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특히 이수형 금통위원의 발언을 근거로 금통위 내부의 동결 컨센서스 가능성을 언급했다. 금리 인하 시에도 추가 인하에 대한 보수적인 스탠스를 예상하며 시장의 최종 금리 수준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시사했다. 노무라와 바클레이즈 등 일부 증권사도 1월 금리 동결을 예상하거나, 정치적 불확실성과 경기 심리 위축을 고려하여 완화 사이클의 앞당김 가능성을 언급했다. HSBC와 씨티는 1월 인하를 포함해 올해 3차례의 금리 인하를 전망했다. 결론적으로 1월 금통위의 결정은 경제 성장, 물가 안정, 환율 등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기준금리 인하와 동결 가능성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정지웅 앵커의 [ 하루 상식 ] “백골단”

1985년 창설된 사복경찰 체포조, 일명 ‘백골단’은 1980~90년대 학생 시위 진압을 위해 운영된 사복경찰 부대였다. 주로 무술 유단자와 특전사 출신으로 구성된 백골단은 흰색 헬멧과 청색 재킷을 착용하고 시위대 속으로 뛰어들어 진압하는 방식으로 악명을 떨쳤다. 1996년 연세대 사건 이후 규모가 축소되고 진압 방식도 변화했으나, 2008년 신설된 경찰 기동대와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남아 있다. 백골단은 당시 독재 정권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시위의 과격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백골단은 한국 현대사에서 시위 진압과 관련된 논쟁적인 부분을 차지하는 집단이다.

정지웅 앵커의 [ “뉴스 브리핑” ]

행복은 목적지가 아니라 여정이다. [ 한국경제TV ] 대졸 평균연봉 5천만원 넘었다 ➨ 한국경영자총협회 조사 결과, 국내 300인 이상 사업체의 대졸 초임이 평균 5천만 원을 넘었다. 반면 5인 미만 사업체는 2천7백만 원으로 절반 수준에 그쳐 사업체 규모에 따른 임금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졸 정규직 초임 평균은 3천6백만 원이었다. 초과급여를 포함하면 평균 3천8백만 원이며, 300인 이상 사업체는 5천3백만 원에 달했다. 경총은 대기업의 높은 초임이 연공형 임금체계와 노조 프리미엄과 더해져 고임금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며, 과도한 초임 인상 자제를 촉구했다. [ YTN ] 경찰, ‘직무대행’ 김성훈 체포 방침…’강경파’ 김신 14일 소환 통보 ➨ 경찰은 윤 대통령 체포 영장 집행 방해 혐의를 받는 김성훈 경호처 차장에 대해 체포영장을 신청했다. 세 차례 출석 요구를 무시한 김 차장에 대한 강제수사에 나선 것이다. 경찰은 김 차장과 함께 강경파로 분류되는 김신 가족부장에게도 출석을 요구하며 경호처 지휘부 흔들기에 나섰다. 일부 경호처 지휘부는 경찰 조사에 협조하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강경파는 계속해서 버티고 있어 조직 내부의 균열이 나타나고 있다. 경찰은 김 차장 체포를 통해 윤 대통령 체포 과정에서의 저항을 무력화하려 한다. [ 조선일보 ] 제주항공 참사 유족 “나랏돈 축내는 벌레 아니다… 악플 너무 큰 상처” ➨ 제주항공 참사로 부모를 잃은 박근우씨가 페이스북에 유족들의 고통을 호소했다. 사고 직후 부모의 사업 정리와 시신 확인 등으로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겪었으며, 긴급생계비 지급 보도 […]

정지웅 앵커의 [ “실시간 순위” ]

1위: 대졸 평균연봉 5천만원 넘었다 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1120037&t=NN 2위: 우의장 “尹대통령 스스로 걸어나오는 게 최선…간곡히 요청” https://www.news1.kr/politics/assembly/5658571 3위: 경찰 직무대행 김성훈 체포 방침…강경파 김신 14일 소환 통보 https://www.ytn.co.kr/_ln/0103_202501130050030717 4위: “훈아답게 살다 갈 것”…나훈아 직접 개사한 마지막 곡 부르다 울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6910 5위: 제주항공 참사 유족 “나랏돈 축내는 벌레 아니다… 악플 너무 큰 상처”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5/01/12/RNRSWPPXPNDMJLUOHDSTW6TQRQ/?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6위: 윤 대통령 ‘신변 우려’로 불출석…기일 변경 신청도 추진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50208&ref=A 7위: 트럼프 “LA 산불로 멋진 집들 사라지는데…무능한 정치인들”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1/12/C3T7CGCLNVAWJC4MWASBQO44KE/?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8위: 비행기서 소변 날벼락…옆자리 승객 “꿈인 줄” 황당 실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6842 9위: Small business owners in their 50s 60s owe over 737tr won in debt https://www.koreaherald.com/article/10388500?ref=naver 10위: 안방 다 내줄 판 韓 부품 갤럭시S25서 줄줄이 밀렸다 https://www.etnews.com/20250110000227 11위: 김성훈 경호차장 체포영장 신청…강경파 압박 12위: “여보 우리도 큰 차로 바꿀까”…대형 전기차 세제혜택 얼마나 13위: 나훈아 “오른쪽이 그랬다 치자 니는 잘했냐 양쪽 다 문제 있다” 14위: 김용현 전 장관 계엄 일주일 뒤 퇴직급여 청구…연금공단 “심사 중” 15위: “건설 보릿고개 못 견디고”…결국 올스톱 16위: 김종민 4월 20일 결혼…친정 프로그램 1박2일서 공개 17위: 카터 장례식서 웃으며 대화한 트럼프·오바마 무슨 말 나눴나 18위: 혁신당 “1인당 20만∼30만원 내란회복지원금 추진…민주와 논의” 19위: 공수처 尹영장 주중 집행 전망…부상자 발생시 손배소 검토(종합) 20위: 돈 덜 드는 증여 두고 왜?…정용진 사재 들여 모친 이마트 지분 매입 21위: [단독] “계엄군 요청따라 3선에 […]

[ 정치 ] “안철수, 윤 대통령 향해 “유혈사태 막으려면 자진 출두해야” 폭탄 발언

“ 안철수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유혈사태 방지를 위해 자진 출두할 것을 촉구했다. 대통령의 영장 거부는 헌법과 법치주의에 어긋난다는 주장이다. 또한, 대통령 지지층의 공권력 저항 가능성을 우려하며, 자진 출두가 더 큰 불행을 막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을 향해서는 계엄 옹호, 친윤 성향 강화가 이재명 대통령 탄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 지지율 상승은 야당의 행태에 대한 반사이익일 뿐이라고 분석하며, 헌법과 법치주의 수호에 힘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민주당의 행태를 ‘점령군’ 또는 ‘홍위병’에 비유하며, 권력 탈취에만 혈안이 되어 있다고 비판했다. 유혈 충돌을 부추기는 행위를 멈추고, ‘이재명 대통령 만들기’ 식의 발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내란 특검법 재의결 부결에 대해 민주당의 오만함을 지적하고, 야당의 특검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지적했다. 여야 합의 특검을 통해 국민 분열을 해소하고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정치 ] “전용기 의원 발언 폭풍: “카톡 계엄령” vs “일반인 처벌 가능”? 여야 충돌

“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의 발언이 여야 간 정면충돌을 야기했다. 전 의원은 카카오톡 등을 통한 가짜뉴스 유포를 내란선전죄로 처벌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보수 유튜버 6명을 고발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전 의원의 발언을 ‘전 국민 카톡 검열’, ‘인민재판’이라 비판하며, 전 의원을 협박죄 및 명예훼손죄로 고발할 방침임을 밝혔다. 또한, ‘카톡 계엄령’ 반대 시민들의 뜻을 모으는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허위조작 정보 접수·고발 시스템인 ‘민주파출소’에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반대 명단을 제출하는 ‘내란선전죄, 나도 고발해줘’ 캠페인을 진행하며, 나경원 의원이 1호 피고발인이 되었다. 전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제보를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고발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법조계에서는 계엄령 선포 옹호 게시글 유포만으로 내란선전죄 적용이 어렵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한국외국어대 이창현 교수는 내란선전죄 적용을 위해서는 유포자의 내란 목적을 입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결국, 전 의원의 발언이 표현의 자유와 검열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정치적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 정치 ] “우원식 의장, 윤 대통령에 “경호처 직원들 시련도 생각해야”

“ 우원식 국회의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임박 상황에 대해 대통령 스스로 법 앞에 나올 것을 촉구했다. 페이스북 글에서 우 의장은 대통령이 경호처를 앞세우는 행위를 중단하고 당당히 법에 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행동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이며, 국격 훼손을 막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법치주의 예외를 주장하는 대신 법 집행에 순순히 응하는 것이 대통령다운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우 의장은 경호처 직원들이 겪을 시련을 우려하며, 대통령의 무책임한 태도로 인해 젊은 직원들이 평생 오명을 뒤집어쓸 수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대통령에게 ‘모르겠다’ 식의 비겁한 태도를 버리고 젊은이들의 앞길을 막아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경호처에 지휘권을 행사해 체포영장 집행에 협조하도록 지시할 것을 요구했다. 이를 통해 국가기관 간 충돌을 막고 대한민국이 법치주의 국가임을 입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가기관 간 충돌 방지가 경제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