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 ] “테더, 엘살바도르행… 비트코인 천국과 검찰 수사의 기로

“ 테더 홀딩스, 엘살바도르로 법인 이전 계획 발표 세계 최대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인 테더 홀딩스가 엘살바도르로 법인 소재지를 이전할 예정이다. 이는 신흥 시장 집중 강화 전략의 일환이며, 테더 최고경영자는 엘살바도르 거주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한 국가로,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은 이번 이전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엘살바도르 정부는 상당량의 비트코인을 보유 중이며, 미실현 매도이익이 100%를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테더는 미국 뉴욕 남부지검의 국제 제재 및 자금 세탁 방지 의무 위반 의혹 수사를 받고 있다. 테더의 스테이블 코인이 불법 행위에 사용되었다는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 인사와 테더의 협력 강화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테더의 이전 결정은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정책과 테더를 둘러싼 법적 리스크를 동시에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 부동산 ] “인천시장 1호 공약, 사업성 부족으로 좌초 위기…시의회 조례 개정 및 시장 동창 의원 개입으로 재개?

“ 인천시의 ‘제물포르네상스’ 사업이 사업성 부족으로 중단 위기에 놓였으나, 시의회 조례 개정과 인천도시공사(iH)의 손실 감수로 재개됐다. 이 과정에서 유정복 시장의 동창이자 해당 개발 사업지 내 상가를 보유한 법인의 사내이사인 A 시의원이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iH는 수천억 원의 손실을 예상하면서도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송현자유시장(양키시장) 부지 보상 문제가 걸림돌이다. 양키시장은 220여 명의 주주가 소유한 법인 형태로, 개별 보상보다 세금이 많이 발생하고 이주 대책에서도 제외돼 주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A 의원은 시정질문에서 양키시장 주민들의 이주 대책을 강력히 요구했는데, 이는 사실상 불법 건물인 상가 소유주를 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A 의원은 해당 법인의 사내이사로 재직 중이며,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의 주택 비율을 높이는 조례 개정안을 발의·통과시켜 사업성을 높이고 자신의 이익을 증대시켰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인천시는 이해상충 여부를 검토하지 않았다고 밝혔고, A 의원은 취재에 응하지 않았다. A 의원의 행위는 개인 이익을 위한 의정활동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관련 법규 위반 여부에 대한 논란이 예상된다. iH는 여전히 양키시장 부지에 대한 보상 방안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 사업은 공공기관의 손실과 시의원의 이해충돌 가능성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주식 ] “실손보험 개혁, 현대해상 주가에 날갯짓을 선물할까?

“ 정부의 ‘비급여 관리·실손보험 개혁방안’ 초안 공개가 보험주 주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개혁안은 실손보험 적자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현대해상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현대해상은 업계 최다 실손보험 계약을 보유하고 있으며, 손해율 또한 가장 높았다. 최근 현대해상 주가는 7거래일 만에 하락했지만, 지난 2일부터 10일까지는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에는 해약환급금준비금 관련 정책으로 주가가 3만 6000원대에서 2만 4000원대로 하락했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소폭 상승하고 있다. 개혁안은 과잉 비급여 진료를 건강보험 체계로 편입하여 관리하고 환자 부담을 높이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현대해상을 포함한 보험사들의 실손보험 적자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해상은 1세대, 2세대 실손보험 계약 보유량이 가장 많아 개혁의 수혜를 가장 크게 볼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투자증권은 현대해상의 주주환원 기대감은 낮지만, 재무 개선 효과는 뚜렷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8년에는 이익 개선과 함께 주주환원 재개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지웅 앵커의 [ 하루 상식 ] “이관개방증”

이관개방증은 이관이 비정상적으로 열려 있어 자가강청(자신의 목소리나 호흡음이 들리는 증상)과 이충만감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원인은 체중 감소, 만성 질환, 근육 위축 등 다양하며, 특히 이관 주변 조직의 위축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 진단은 이학적 검사(고막 움직임 관찰)와 음파이관측정법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비수술적 치료(약물 치료 등)가 우선 시행되지만 증상이 심할 경우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증상의 경과는 일시적인 경우부터 만성적인 경우까지 다양하며, 급격한 체중 감소와 비강 스테로이드제 사용은 예방해야 할 요인이다.

정지웅 앵커의 [ “뉴스 브리핑” ]

영감은 땀의 결정체에서 피어난다. [ 연합뉴스TV ] [단독] 예비 배터리에 기저귀까지…준비물로 본 2차 집행 의지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2차 체포영장 집행을 앞두고 경찰이 장기전에 대비하고 있다. 경찰은 수갑, 삼단봉 등과 함께 방한용품, 휴대전화 예비 배터리, 심지어 기저귀까지 준비하는 등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고려하고 있다. 이는 경호처 직원들의 저지 가능성을 고려, 현행범 체포까지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차 시도에서 관저 앞까지 접근했으나 실패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에는 장시간 집행을 감수하며 강행할 의지를 보이고 있다. 국가수사본부 관계자 역시 장기전 대비를 언급하며 강력한 집행 의지를 드러냈다. [ 조선일보 ] [단독] 15일 尹체포 집행 유력…‘경호처 진압’ 500명 선발 투입 ➨ 공수처와 경찰은 15일 새벽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 영장 재집행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찰은 이를 위해 1000명이 넘는 인력을 투입할 계획이며, 이중 500명은 대통령경호처 지휘부 체포 및 진압에, 나머지 500명은 윤 대통령 체포 및 수색에 집중한다. 경호처의 무력 저항 가능성에 대비하여 경호처가 화기를 사용할 경우 즉시 후퇴하는 지침을 내렸다. 대테러부대 투입은 제외되었으며, 경찰은 14일 최종 작전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작전은 지난 3일 1차 집행 당시 경호처의 강경 대응을 고려하여 대규모 인력 투입과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한 것이 특징이다. [ MBC ] 최상목 “경찰·경호처 협의하라”‥”범인 저항하면 못 잡나?” 반발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경찰과 경호처의 충돌을 우려하며 양 기관에 협의를 […]

정지웅 앵커의 [ “실시간 순위” ]

1위: [단독] 15일 尹체포 집행 유력…‘경호처 진압’ 500명 선발 투입 https://www.chosun.com/national/2025/01/13/Q2TAC6WTNJEONCC3QUW4EWEQH4/?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2위: 日 미야자키현 규모 6.9 지진…‘난카이 대지진’ 관련있나 https://www.seoul.co.kr/news/international/2025/01/13/20250113500217?wlog_tag3=naver 3위: 올해들어 새벽에 갑자기 500명 심정지…대만에 무슨 일이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1/13/EW73KX6B6BEZLPWYCNHFGJHVB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4위: 최상목 “경찰·경호처 협의하라”‥”범인 저항하면 못 잡나?” 반발 https://imnews.imbc.com/replay/2025/nwdesk/article/6676472_36799.html 5위: 격렬해지는 관저 집회…한남동 관저 앞은 몸살 https://www.ytn.co.kr/_ln/0103_202501132020047236 6위: 한파속 실종된 시각장애인 반려견 끌어 안고 7시간 버텼다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5/01/13/NH5YBHLQBRB5BASAVP7SIN5MXQ/?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7위: 겨우 이자 내면서 팍팍하게 사는데…연봉 1억 은행원 또 ‘돈잔치’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OEUWJZJ 8위: 美 AI 칩 수출규제 전세계로 확대…韓 면제 국가 포함 https://www.etnews.com/20250113000406 9위: 국힘 40.8% vs 민주 42.2%…계엄 전 수준으로?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946370&plink=ORI&cooper=NAVER 10위: [단독] 경호처 중간간부들 “대통령 체포영장 입장 밝혀라” 첫 집단행동 http://www.mbn.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5087656 11위: 션 결국 공개 사과…”PD 채용에 달리기 쓴 게 잘못” 12위: 한순간 실수로 1조 잃은 남성…10년간의 근황 보니 13위: 국민의힘 울산 남구갑 시·구의원들 김상욱 의원에게 “탈당해달라” 14위: “탄핵반대 식당이래”…군·경 할인 매장에 별점테러 했다간 [법알못] 15위: 제주항공 참사로 부모 잃은 대학생…”나랏돈 축내는 벌레 아냐” 16위: 대통령 측 정계선 재판관 기피 신청…헌재 재판관 회의 소집 17위: 오차범위 양당 지지율 여론조사 또 공개…권성동 “우리 당 잘한단 지지 아냐” 18위: [단독] 尹 2차 체포 15일 유력…특공대 대신 소방 투입하나 19위: “어쩐지 싸더라” 해외직구로 산 슬리퍼·샌들 알고 보니… 20위: 이번 주 중반 체포영장 집행 가능성…”막으면 현행범 체포 방침” 21위: 일본 규슈 미야자키현 앞바다 규모 6.9 지진…쓰나미 주의보 […]

[ 정치 ] “이재명, “카톡 허위뉴스 방치 안 한다” vs 국힘 “카톡 계엄령, 독재 본능” : 與野 충돌 격화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국민의힘의 ‘카카오톡 검열’ 비판에 대해 정면 반박했다. 민주당은 카카오톡을 통한 허위뉴스 유포에 대해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혔고, 이에 국민의힘은 ‘카카오톡 계엄령’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 대표는 허위뉴스를 민주주의의 적이라 규정하고, 자신에 대한 허위사실 유포 사례를 예로 들며 엄중히 대처할 것을 강조했다. 민주당 전현희 최고위원 또한 허위뉴스를 사회악으로 규정하며 비판에 가세했다. 반면, 한준호 최고위원은 민주당이 카카오톡을 검열할 수 없다며 국민의힘의 주장을 거짓 선동으로 규정했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민주당의 행위를 공산당식 대국민 겁박이자 ‘폰틀막’이라고 비판했으며,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를 민주당의 독재 본능으로 해석했다. 양당은 허위뉴스 대응 방식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며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논쟁은 허위정보 유포와 표현의 자유 사이의 균형점을 어디에 둘 것인가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카카오톡을 통한 허위뉴스 유포 문제가 정치적 공방의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 정치 ] “원희룡, 이재명·민주당 향해 “가짜뉴스 원조이자 달인…카톡 검열? 국민 겁박 말고 자신부터 고발하라”

“ 원희룡 전 장관은 이재명 대표를 향해 민주당이 가짜뉴스의 ‘원조’이자 ‘달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이 대표의 ‘김문기 몰랐다’ 발언과 대선 직전 김만배 인터뷰 관련 문자메시지 발송을 가짜뉴스의 예시로 들었다. 이러한 행위들은 이 대표가 허위 사실 공표 혐의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사실과 연결된다. 1심 재판부는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는 이 대표의 발언을 허위로 판단했다. 또한, 이 대표가 대선 직전 475만 명에게 발송한 문자에는 허위 인터뷰 내용이 담긴 뉴스타파 유튜브 링크가 포함되어 있었다. 민주당이 카카오톡을 통한 내란 선동 관련 가짜뉴스 유포에 대해 고발하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원 전 장관은 이를 ‘카톡 검열’이라 비판하며 민주당의 이중잣대를 지적했다. 그는 민주당과 이 대표가 국민을 겁박하기 전에 자신부터 고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국민의힘의 ‘내란선전죄, 나도 고발해줘’ 캠페인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민주당은 가짜뉴스 근절 의지를 밝혔으나, 원 전 장관은 이를 가짜뉴스 생산·유포의 주체인 민주당의 위선이라고 비판했다. 결국, ‘카카오톡 검열’ 논란은 여야 간 가짜뉴스 책임 공방으로 이어지고 있다.

[ 정치 ] “국민의힘, 계엄 특검법 찬반 갈등…내일 최종 결정 발표

“ 국민의힘은 1월 13일 의원총회를 열고 ‘계엄 특검법’ 발의 여부를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기 때문이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의총 후, 민주당의 ‘내란 특검법’에 대한 당의 대응 방안을 두고 의원들 의견이 분분해 지도부에 결정권을 위임했다고 밝히고, 14일 지도부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의총은 약 3시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원내지도부는 특검법 초안을 공유하고 의원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주진우 법률자문위원장이 마련한 초안은 야당이 발의한 내란 특검법에서 외환, 내란 선전·선동 혐의 등을 삭제하고 수사 범위를 대폭 축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검법 발의에 반대하는 일부 의원들은 ‘계엄 자체가 잘못됐다고 확신할 수 없다’는 의견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국민의힘은 ‘계엄 특검법’ 발의 여부를 14일 지도부의 결정에 맡기게 되었다. 이 결정은 당내 갈등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 정치 ] “국민의힘, 계엄 특검법 발의 여부 오늘 결론…내부 의견 충돌 속 ‘폭풍전야’

“ 국민의힘은 13일 의원총회에서 ‘계엄 특검법’ 발의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 원내 지도부에 결정 권한이 위임되었으며, 14일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의총 후 브리핑에서 당내 의견이 분분하여 지도부가 결정을 맡게 되었다고 밝혔다. 약 3시간 동안 진행된 의총에서는 당 법률자문위원장이 마련한 특검법 초안이 공유되었다. 이 초안은 야당이 발의한 법안보다 수사 범위를 크게 축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의총에서 일부 의원들은 계엄 자체의 문제점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제기하며 특검법 발의에 반대했다. 윤상현, 장동혁 의원 등이 특검법 발의에 반대하는 의견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국민의힘은 의원들 간 의견 차이로 ‘계엄 특검법’ 발의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지도부의 결정을 기다리게 되었다. 지도부는 14일 최종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결정은 향후 정치적 파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