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의 사이드카는 선물 가격이 급등락할 때 현물시장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코스피 5%, 코스닥 6% 이상으로 1분 이상 급등락하면 5분간 주식 매매를 일시 중단한다. 하루 한 번만 발동되며, 거래 종료 40분 전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는 서킷브레이커보다 먼저 발동되는 경계경보 시스템으로, 1987년 미국 증시 폭락 이후 도입되어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부터 시행 중이다. 외환위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등 시장 혼란 시 여러 차례 발동된 바 있다.
Related Posts
[ 부동산 ] “수도권 주택 5만호 공급 계획, 그린벨트 해제 속도가 관건
- staff_1 jeong
- 2024-11-06
- 0
“ 정부가 수도권 주택 5만호 공급 계획을 발표하며 그린벨트 해제를 추진하자, 건설업계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부동산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기대하면서도 우려를 표했다. 특히 개발 속도를 위해서는 사유지 보상 문제 해결이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2029년 첫 분양, 2031년 첫 입주를 목표로 하지만, 통상 그린벨트 해제 후 개발까지 10년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수 있다. 보상 문제를 둘러싼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서울에 공급되는 2만호 중 55%를 신혼부부용 장기전세주택으로 공급할 계획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긍정적인 시도로 평가되지만, 장기적으로는 분양전환 없는 장기임대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환경보전과 국토균형발전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시민단체들은 그린벨트 해제가 집값 안정 효과 없이 오히려 집값 상승과 투기 우려만 부추길 것이라고 주장하며, 과거 그린벨트 해제 사례를 통해 주변 집값 상승만 초래했음을 지적했다. 정부는 환경 시민단체와의 갈등 해소와 님비 현상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며, 미래세대를 위한 그린벨트 개발이라는 명분에 걸맞게 투명하고 효율적인 개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 정치 ] “‘윤-명태균 녹취’ 공방에 국감장 ‘난장판’… 與 “탄핵 정국 조성”, 野 “거짓말”
- staff_1 jeong
- 2024-11-02
- 0
“ 11월 1일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여야는 윤석열 대통령과 명태균 씨의 통화 녹음을 둘러싸고 격렬한 공방을 벌였다. 민주당은 녹취록을 근거로 윤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제기하며 파상 공세를 펼쳤다. 반면 국민의힘은 녹취록이 조작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민주당이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덮으려 한다고 비난했다. 여야는 녹취록의 진위 여부를 놓고 팽팽히 맞섰으며, 증거 가치에 대한 의견 충돌은 특검 요구로까지 이어졌다. 국민의힘은 녹취록이 편집·조작되었다고 주장하며 ‘소리규명연구소’ 감정 결과를 근거로 제시했다. 반면 민주당은 녹취록 내용의 신빙성을 강조하며 윤 대통령의 해명을 요구했다. 김건희 여사의 동행명령장 발부에 대해서도 여야 간 갈등이 빚어졌다. 국민의힘은 김 여사의 출석을 거부하며 동행명령장 발부에 반대했지만, 민주당은 김 여사의 출석을 강력히 요구하며 공세를 퍼부었다. 이날 국감에서는 김 여사의 카카오톡 메시지 내용을 둘러싼 논쟁도 뜨거웠다. 국민의힘은 김 여사의 메시지 내용이 ‘선거 과정에서 흔히 쓰는 표현’이라고 주장하며 민주당의 공세를 반박했다. 반면 민주당은 김 여사의 발언이 부적절하다고 비판하며 윤 대통령에게 사과를 요구했다. 증인으로 출석한 강혜경 씨는 명 씨와 윤 대통령 부부의 관계에 대해 증언하며 “대통령 당선 이후 대통령 쪽에서 선을 그었고, 그 이후로 김 여사와 계속 소통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강 씨를 ‘공익 제보자’라고 옹호했지만, 국민의힘은 ‘제2의 윤지오’라고 비난하며 강 씨의 증언 신뢰도를 깎아내렸다. 결국 이날 국감은 여야 간 격렬한 공방 속에 자정을 넘겨 이튿날 새벽까지 이어졌다.
[ 정치 ] “‘尹 탄핵 vs 개헌’… 야권, ‘정권 퇴진’ 총공세
- staff_1 jeong
- 2024-11-02
- 0
“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민의힘 공천 개입 의혹을 폭로하며 탄핵 가능성을 언급하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이재명 대표는 윤 대통령을 ‘독재자’라 칭하며 “국민은 정권을 뒤집을 수 있다”고 강조했고, ‘정치적 비상사태’를 선언하며 윤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했다. 민주당은 ‘김건희 특검법’ 통과를 위해 2일 서울역에서 대규모 규탄집회를 열고, 향후 전국 단위 집회 확대도 고려하고 있다. 또한, 윤 대통령 임기 단축을 위한 헌법 개정을 추진하는 ‘임기 단축 개헌 의원 연대’를 결성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과 명태균 씨 간의 통화 녹취 외에도 추가 폭로를 예고하며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주변 인물들의 추가적인 연루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탄핵을 겨냥한 발언도 서슴지 않으며, 탄핵 상황에 대비해 법적·제도적 준비를 시작했다. 민주당은 ‘김건희 특검법’ 통과를 통해 윤 대통령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여론을 끌어올려 정권 퇴진을 위한 전략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