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이다. 14일 이상 지속되는 특징적인 기침과 함께 ‘흡’ 하는 소리, 발작, 구토 등의 증상을 보인다. 감염은 주로 기침을 통해 퍼지며, 백일해 증상이 없는 성인도 감염원이 될 수 있다. 백일해는 3단계로 진행되는데, 1단계는 가벼운 상기도염 증상을 보이고, 2단계는 발작성 기침과 ‘흡’ 하는 소리가 특징적이며, 3단계는 기침이 점차 줄어드는 회복기이다. 진단은 기침 양상, 환자 접촉력, 혈액 검사, 흉부 방사선 검사, 균 배양 검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치료는 에리스로마이신 등 항생제를 사용하며, 3개월 미만 영아나 심폐 질환 소아는 입원 치료를 한다. 예방은 백일해 예방 접종이 필수이며, 가족 내 환자와의 접촉 시에는 에리스로마이신을 복용해야 한다.
Related Posts
[ 부동산 ] “서울 집값 상승세, 8월 정점 찍고 진정세… 매물 증가, 거래량 감소
- staff_1 jeong
- 2024-09-26
- 0
“ 서울과 수도권의 집값 급등세가 이달 들어 진정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토교통부와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 거래량 감소, 주택담보대출 증가액 둔화, 매물 증가 등을 근거로 8월 정점 대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도 둔화되는 추세다. 국토부는 ‘8·8 공급대책’을 더 빠르게 추진하여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공급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한국부동산원은 매물 증가가 서울 주택 가격 상승 폭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방권 아파트는 6월 이후 하락 폭이 다소 축소되었지만, 울산을 제외한 지방 광역시 아파트값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과 유동성 변화가 서울 집값 상승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출 규제로 인해 당분간 가격 안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8·8 대책’을 보완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미착공 공동주택 착공을 지원하고, 수도권 신도시 등 택지지구의 구체적인 분양물량과 일정을 제시하여 매수 대기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소형 신축 비아파트 매입 시 주택 수에서 제외해 세제 혜택을 주는 특례를 2028년까지 부여하고, 기축 소형 비아파트 매입 시 주택 수 제외 특례를 일반인에게 확대 적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정치 ] “법륜스님, 이재명 대표에 “민주, 의정 갈등 침묵 아쉬워… 정부와 잘 논의해야”
- staff_1 jeong
- 2024-11-06
- 0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6일 법륜스님과 차담을 갖고 정국 운영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법륜스님은 한반도 평화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 대표에게 정부와의 협력을 통한 전쟁 방지 노력을 당부했다. 특히 의료계와 정부 간 갈등에 대한 민주당의 침묵을 지적하며 적극적인 대화와 해결 노력을 촉구했다. 또한, 법륜스님은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언급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부의 책임을 강조하면서도 국회 다수당인 민주당의 책임감 있는 대응을 촉구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자세를 주문했다. 이 대표는 법륜스님의 조언에 대해 “그렇게 보일 수는 있다”고 답하며, 민주당의 입장을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 부동산 ] “트럼프 당선과 고금리 여파… 전국 아파트 분양 전망 급락
- staff_1 jeong
- 2024-12-05
- 0
“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12월 82.0으로 급락했다. 수도권은 25.4포인트, 비수도권은 14.2포인트 하락 전망되며 광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인천은 37.4포인트나 하락했다. 이러한 급락은 트럼프 당선 이후의 경제 불확실성, 미·중 무역 갈등 등으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 때문이다.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104.3으로 상승세는 유지되지만 상승폭은 둔화될 전망이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91.3으로 하락했는데, 이는 인허가 및 착공 감소 때문이다.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95.5로 전월과 동일하다. 수도권 미분양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방의 거래 증가가 이를 상쇄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정부의 서울 집값 억제 정책이 전국 주택시장 침체를 야기하고 금융 불안과 지방 경기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내년 초 은행 대출 재개와 기준금리 추가 인하 기대감은 분양전망 개선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 분야 인허가 물량 감소는 건설 자재 및 인력 수요 감소로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