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신경성 실신은 가장 흔한 실신 유형으로, 심한 스트레스나 긴장으로 인한 혈관 확장과 심장 박동 감소로 혈압이 급격히 떨어져 뇌 혈류량이 줄어들어 발생한다. 전조 증상으로 어지러움, 메스꺼움, 창백, 식은땀 등이 나타나며, 의식 상실로 이어진다. 진단은 주로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심전도, 심장 초음파 등의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대부분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되지만, 심각한 경우 약물 치료나 심장 박동기 삽입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탄력 스타킹 착용, 충분한 수분 섭취, 장시간 서 있기 피하기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도움이 된다. 실신 증상이 나타나면 앉거나 눕고 다리를 높이 들어 뇌 혈류량 감소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Related Posts
[ 정치 ] “이재명 무죄 탄원 100만 명 돌파…1심 선고 앞두고 여야 ‘생중계’ 공방 치열
- staff_1 jeong
- 2024-11-11
- 0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1심 선고를 앞두고 여야는 팽팽한 대립을 이어가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재판 생중계를 촉구하며 사법부에 대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판 생중계 사례를 언급하며 이 대표가 무죄라면 생중계를 못 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이 대표에게 직접 생중계를 요청할 것을 요구했다. 반면, 민주당은 ‘이재명 무죄 판결 촉구 탄원’ 서명 운동을 통해 여론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친명계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서명인 수가 100만 명을 돌파했으며, 이 대표의 1심 선고 당일 서울중앙지법 앞에서 지지자 5000명 규모의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자치분권민주지도자회의는 기자회견을 통해 법원에 무죄 판결을 촉구하며 검찰 독재 정권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이 대표는 1심 선고를 앞두고 자신의 위증교사 혐의에 대한 반박에 주력했다. 그는 SNS에 “검찰 주장은 김진성에게 ‘기억을 되살려 있는 대로 말해달라’는 취지를 반복적으로 말했다는 것에 근거하고 있다”며 위증교사 혐의를 부인했다. 이처럼 이 대표의 1심 선고를 앞두고 여야는 서로 다른 주장을 펼치며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이 대표의 재판 결과는 향후 정치권의 판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정치 ] “1조 미만 고교 무상교육 vs 수십조 초부자 감세…이재명 “국가 책임 망각한 정부, 암담하다”
- staff_1 jeong
- 2024-11-27
- 0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1월 27일 고교 무상교육 현장 간담회에서 정부의 고교 무상교육 정책 반대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 대표는 교육은 개인의 책임이 아닌 국가의 책임이라고 주장하며, OECD 국가 중 고교 교육비를 개인이 부담하는 유일한 국가였던 한국이 2019년 무상교육을 실시했음에도 윤석열 정부가 후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재정 여력이 없는 교육청은 다른 사업을 축소하거나 학생 복지, 학교 시설 보수 예산을 삭감해야 할 위기에 놓였다고 우려했다. 이 대표는 고교 무상교육 예산이 1조 원도 안 되는 반면 초부자 감세는 수십조 원에 달한다며 정부의 재정 정책을 비판했다. 초부자 감세로 인한 국가 재정 악화가 교육 지원 예산 대규모 삭감으로 이어졌다고 비판하며, 국가 경영이 원칙과 정도를 잃었다고 주장했다. 고교 무상교육 국비 지원 특례 기간 연장 법안이 법사위를 통과했지만, 대통령의 거부 가능성을 우려했다.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은 고교 무상교육이 대표적인 교육복지 정책이며, 정부의 예산 편성 미흡으로 정책이 불안정해졌다고 우려를 표했다. 중앙정부의 예산 부담 감소는 시도교육청의 재정 부담 증가로 이어져 학교 시설 개선 및 주요 교육 사업 추진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는 이 대표가 학생들과 식사하고 기념 사진을 찍는 등 소통하는 시간도 가졌다.
정지웅 앵커의 [ 하루 상식 ] “5·18민주화운동기념일”
- staff_1 jeong
- 2024-12-07
- 0
1980년 5월, 광주와 전남 지역에서 신군부의 집권에 반대하는 5·18민주화운동이 발생했다. 군부의 폭력적 진압에도 시민들은 저항했고, ‘시민군’이라는 이름으로 자치를 선포하기도 했다. 하지만 계엄군의 재진입으로 운동은 종결되었고,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후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었으며, 1997년 5월 18일은 법정기념일로 제정되었다. 현재는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한 다양한 기념 사업이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