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은 시신경의 기능 이상으로 시야 결손을 일으키는 진행성 질환이다. 안압 상승으로 인해 시신경이 눌리거나 혈류 장애가 발생하여 시신경이 손상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추측되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녹내장은 초기 증상이 미미하여 말기에 이르러서야 시야 장애를 인지하게 된다. 급성 녹내장은 안압이 갑자기 상승하며 통증, 시력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만성 녹내장은 서서히 진행하여 시야가 좁아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중요하며, 40세 이상은 매년 안압검사와 안저촬영을 통해 녹내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Related Posts
[ 정치 ] “한동훈 vs 친윤, ‘특별감찰관’ 놓고 당내 전쟁…표결까지 갈까?
- staff_1 jeong
- 2024-10-25
- 0
“ 국민의힘은 특별감찰관 임명을 두고 친윤계와 친한계 간 갈등을 겪고 있다. 한동훈 대표는 민주당의 요구를 수용해 특별감찰관 임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친윤계는 당 지도부와의 사전 협의 없이 독단적으로 추진하는 것에 반발한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국감 이후 의원총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지만, 친한계는 다음 주 초 의총 개최를 주장하는 반면, 친윤계는 11월 둘째 주를 검토하고 있다. 의원총회에서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만장일치가 어려울 경우 표결에 부칠 가능성도 있지만, 표결은 당 분열을 공식화하고 특별감찰관 임명이 부결될 경우 한 대표에게 큰 타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양대 계파는 의원총회 전에 여론을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 전략 싸움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국감 종료 이후 계파 간 모임을 통해 메시지를 발표하고 의총 전에 중재가 이루어질 가능성도 있다. 특별감찰관 임명을 둘러싼 친윤계와 친한계의 갈등은 국민의힘 내부 분열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 이더리움 ]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꺾이자… 암호화폐 펀드 4주 만에 자금 유출
- staff_1 jeong
- 2024-10-07
- 0
“ 글로벌 디지털 자산 투자 펀드에서 4주 만에 자금이 유출되었다. 10월 4일 기준으로 전체 암호화폐 펀드에서 1억 4700만 달러가 순유출되었으며, 이는 4주 만에 처음으로 발생한 마이너스 흐름이다. 연준의 빅컷(50bp 금리 인하) 가능성이 약화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난주 발표된 경제 데이터가 예상보다 좋게 나오면서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가 늦춰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고, 이에 대한 실망감이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로 이어졌다. 자산별로 비트코인 펀드에서 1억 5900만 달러, 이더리움 펀드에서 2890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반면 솔라나 530만 달러를 비롯해 라이트코인, XRP, 카르다노에 소규모 자금이 유입되었다. 다양한 코인들을 묶어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멀티-애셋 펀드는 2940만 달러 순유입을 기록하며 16주 연속 플러스 자금 흐름을 지속했다. 자산 운용사별로 블랙록에 1억 9100만 달러 유입된 반면 그레이스케일 1억 1200만 달러, 피델리티 1억 3900만 달러, 아크 21셰어스 2억 700만 달러 자금 유출이 발생했다.
[ 정치 ] “김건희 여사 특검, 민주당 “독소조항 논의 열려있다” vs 국민의힘 “삭제해야”
- staff_1 jeong
- 2024-11-03
- 0
“ 더불어민주당은 11월 국회에서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추진한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의 ‘독소조항’ 주장에 대해 논의 가능성을 열어두며 한동훈 대표의 협조를 요청했다. 민주당은 김 여사 특검법과 함께 채상병 사망사건 관련 국정조사와 상설특검도 추진한다. 11월 28일 본회의에서 채상병 국정조사 의결을 추진하며 상설특검 법안도 준비 중이다. 지난달 민주당은 여당을 배제한 상설특검 추천권을 담은 국회 규칙 개정안을 강행 처리했다. 해당 규칙 개정안은 대통령 거부권과 관계없이 본회의에서 확정된다. 특정 사안에 대한 상설특검 수사를 요구하는 수사요구안은 법제사법위원회 논의 후 본회의 통과 시 즉시 발동될 수 있다. 안철수 의원은 김 여사 특검에 대해 독소조항 삭제를 주장하며 여야 합의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