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절은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는 국경일이다. 10월 3일, 서기전 2333년에 단군이 단군조선을 건국한 날을 기리는 날이지만, 실제로는 환웅이 태백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신시를 연 날인 서기전 2457년 10월 3일을 기념하는 날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개천절은 단순히 국가 건국을 기념하는 날이 아니라 민족의 탄생과 하늘에 대한 감사를 표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명절이다. 개천절을 경축하는 행사는 옛날부터 제천행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대종교에서 처음으로 개천절을 경축일로 정하고 매년 행사를 거행했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으며, 광복 후 대한민국에서는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식 제정하고, 대종교의 ‘개천절 노래’를 현행 노래로 바꾸었다. 원래 음력 10월 3일이었던 개천절은 1949년부터 양력 10월 3일로 바뀌었으며, 정부 주관 경하식과 더불어 여러 단군숭모단체들이 마니산, 태백산, 백악전 등에서 제천의식을 올린다.
Related Posts
[ 주식 ] “미국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SK하이닉스 주가 6% 급락, 외국인 1조 넘게 팔아치워
- staff_1 jeong
- 2024-09-19
- 0
“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코스피 지수는 반도체 업종의 하락으로 소폭 상승에 그쳤다. 외국인 투자자는 1조 1765억원을 순매도하며 지수 상승을 억제했다. 특히 모건스탠리가 SK하이닉스 목표 주가를 대폭 하향 조정하면서 SK하이닉스 주가는 6.14% 급락했다. 반면 금리 인하와 생물보안법 수혜 기대감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으로 영풍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했고, AI 인프라 펀드 조성 소식에 HD현대일렉트릭 등 전력기기주가 급등했다. 코스닥 지수는 롤러코스터 흐름을 보였지만, 낙폭과대 인식 속에 상승 마감했다. 바이오주가 강세를 보이며 알테오젠과 리가켐바이오는 각각 9.55%와 8.63% 상승했다. 에프앤가이드는 경영권 분쟁 조짐에 상한가를 기록했고, 샤페론은 아토피 치료제 글로벌 진출 기대감에 상한가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미 연준의 금리 인하와 함께 하락하며 전 거래일 대비 0.5원 내린 1329원을 기록했다.
[ 연예 ] “세 딸을 보육원에 버린 아버지, 막내딸의 죽음 후 밝혀진 충격적 진실
- staff_1 jeong
- 2024-12-08
- 0
“ 채널A ‘탐정들의 영업비밀’ 9일 방송분에서 ‘백호탐정단’의 활약상이 공개된다. 일용직으로 생활하며 세 딸을 보육원에 맡긴 아버지와 딸들의 재회를 탐정들이 주선했다. 스무 살 막내딸이 데이트 살인으로 사망하면서 딸들은 유족 위로금을 받기 위해 아버지를 찾았다. 탐정들은 아버지의 과거 직업 정보만으로 그의 거주지를 추적, 접촉에 성공했다. 처음에는 막내딸의 사망 소식에 탐정들을 내쫓으려 했던 아버지는 딸들의 사진을 보자 태도를 바꿨다. 탐정이 큰딸의 자랑스러운 모습을 전하자 아버지는 고개를 떨구었다. 아버지가 딸들과 재회할 용기를 낼지 여부는 방송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방송은 12월 9일 밤 9시 30분에 채널A에서 방영된다. 하수나 기자가 사진을 제공했다.
[ 주식 ] “깻잎 1장에 120원, 채소값 다시 들썩인다
- staff_1 jeong
- 2024-10-01
- 0
“ 깻잎 1장 120원 시대… 채소값 폭등, 장바구니 물가 다시 불안 폭염과 집중호우가 겹치면서 채소 가격이 급등하며 장바구니 물가가 다시 불안해졌다. 깻잎 1장 가격이 120원을 넘어섰고, 100g당 가격은 돼지고기보다 비싼 3,533원에 달한다. 평년 대비 40% 가까이 오른 것이다. 폭염과 때늦은 가을 더위로 인해 작황이 부진했고, 7월 장마와 추석 이후 집중호우로 인해 재배 면적이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하순 기준 상추 가격은 1년 전보다 46% 올랐고, 오이 가격도 16% 상승했다. 배추 가격은 한 포기에 1만 원에 육박하면서 정부가 2년 만에 중국산 배추 수입에 나섰다. 소비자들은 급등한 채소 가격에 부담을 느끼며 장바구니를 줄이거나 채소 구매를 잠시 멈추는 상황이다. 정부는 이상기후로 인한 채소 작황 부진과 재배 면적 감소가 지속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연내 기후변화 대응 농산물 수급관리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